이번 글에서는
숫자와 함께,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빼기를
다시 한번 이야기 하겠습니다.
더불어 숫자가 증가하면,
자릿수가 어떻게 변하고
어떻게 읽는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수학에서는 사람, 물건, 동물 등이
얼마큼 있는지를
표현하는데 쓰는 언어이다.
숫
자는 0, 1, 2, 3, 4, 5, 6, 7, 8, 9 이렇게
총열개의 숫자를 사용한다.
0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이다.
사람이 0명이라는 의미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이고,
물건이 0개라는 의미는
물건이 없다는 의미이고,
동물이 0마리라는 의미는
동물이 없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하나씩 늘어나면(생기면),
숫자는 다음과 같이 늘어납니다.
이때 늘어난다는 의미로
'+' 더하기 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1을 총 9번 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X' 표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나씩 줄어들면(없어지면),
숫자는 다음과 같이 줄어듭니다.
이때 줄어든다는 의미로
'-' 빼기 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림을 보면
1을 9번 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 나누기 표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는
밑에 그림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제 9에서 1이 더 증가하면
어떻게 될까요?
밑에 그림을 보겠습니다.
9에서 1이 증가하면
일의 자리에 있는 숫자는 0으로 표현하고
십의 자리에 있는 숫자는 1이 됩니다.
우리는 0에서부터 9까지의 숫자를 표현할 때는
일의 자릿수만 표현하고
십의 자리는 모두 표현을 안 하지만
0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0이라는 숫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이기 때문에,
표현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10에서부터 1씩 증가하고,
19에서 다시 1이 증가하면
어떻게 될까요?
위 그림처럼
일의 자리는 다시 0이 되고
십의 자리 숫자가
1에서 2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반대로
20에서 1이 줄어둘거나
10에서 1이 줄어들면
아래 그림처럼,
일의 자리는
0에서 9로 바뀌고,
십의 자리 역시 1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숫자가 계속 증가해서
99가 되고 여기서 다시 1이 증가하면,
일과 십의 자리에 있는 수는 0이 되고
백의 자리가 생기면서,
백의 자리에 있는
숫자가 1이 됩니다.
이렇게 숫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자릿수를 가지고
크고 많음을 표현합니다.
자릿수는
아래 그림과 같은 말로 표현합니다.
읽는 방법은
숫자와 자릿수를 붙여서 읽습니다.
일의 자릿수 숫자는
자릿수를 붙여서 읽지 않고
숫자만 읽습니다.
자릿수에 0이 있으면
읽지 않습니다.
일의 자릿수 말고
다른 자릿수에는 1이 있으면
자릿수만 읽습니다.
가끔은 숫자와 함께 읽기도 합니다.
수학에서
숫자와 자릿수,
더하기 표, 빼기 표, 곱하기 표, 나누기 표는,
한글의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처럼,
영어의 abcdefghijklmnopqrstuvwxyz처럼
가장 맨 처음 사용하고
기억해야 할 언어입니다.
집에 있는 물건을 셀 때
종이에 자릿수와 숫자를 표현해서
하나하나 쓰면서 연습해 보세요.
더하기와 빼기, 곱하기, 나누기도
같이 표현해서 반복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보세요.
수학은 우리 주변에 아주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예로는 물건을 살 때지요.
수학을 알면,
물건이 얼마나 비싼지 싼지도 알 수 있고,
돈의 값어치도 알 수 있습니다.
돈을 모으는 사람들은,
내가 가진 돈으로
무엇을 얼마큼 살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너무 갖고 싶은 것이 있는데
많이 비싸면,
내가 돈을 얼마씩 며칠을 모아야
살 수 있는지도 생각할 수 있지요.
친구들에게 과자를 나눠 주고 싶을 때도,
내가 과자가 몇 개 가지고 있어서
몇 명의 친구들에게
몇 개를 나눠줄 수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수학의 기본 언어인
숫자, 자릿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를
꼭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길 바랍니다.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형 (0) | 2022.03.27 |
---|---|
사칙연산 그리고 수판셈, 암산 (0) | 2022.03.27 |
숫자 그리고 나누기표 (0) | 2022.03.27 |
숫자 그리고 빼기표 (0) | 2022.03.27 |
숫자, 더하기 표, 곱하기 표, 그리고 구구단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