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칙연산 그리고 수판셈, 암산
오늘은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에 대해 마무리 글을 쓰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이야기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합쳐서 말하는 단어는 '사칙연산' 입니다. 사칙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이용하여 하는 셈. 수학 언어인, 숫자, 그리고 더하기 표, 빼기 표, 곱하기 표, 나누기 표, 등호 등과 그 외 여러 가지 수학 기호로 표현한 것을 '수식' 또는 '수학식'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1 + 1 = 2라고 표현한 것은 가장 간단한 수식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수식을 계산할 때, 다 같이 정한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곱하기 표와 나누기 표가 있으면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다. 2. 괄호로 묶인 것이 있으면 괄호로 묶인 것부터 계산한다. 첫 번째 규칙, 곱하기..
2022. 3. 27.
숫자 그리고 자릿수
이번 글에서는 숫자와 함께,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빼기를 다시 한번 이야기 하겠습니다. 더불어 숫자가 증가하면, 자릿수가 어떻게 변하고 어떻게 읽는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수학에서는 사람, 물건, 동물 등이 얼마큼 있는지를 표현하는데 쓰는 언어이다. 숫 자는 0, 1, 2, 3, 4, 5, 6, 7, 8, 9 이렇게 총열개의 숫자를 사용한다. 0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이다. 사람이 0명이라는 의미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이고, 물건이 0개라는 의미는 물건이 없다는 의미이고, 동물이 0마리라는 의미는 동물이 없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하나씩 늘어나면(생기면), 숫자는 다음과 같이 늘어납니다. 이때 늘어난다는 의미로 '+' 더하기 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1을 총 9번..
2022.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