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중10

사칙연산 그리고 수판셈, 암산 오늘은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에 대해 마무리 글을 쓰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이야기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합쳐서 말하는 단어는 '사칙연산' 입니다. 사칙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이용하여 하는 셈. 수학 언어인, 숫자, 그리고 더하기 표, 빼기 표, 곱하기 표, 나누기 표, 등호 등과 그 외 여러 가지 수학 기호로 표현한 것을 '수식' 또는 '수학식'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1 + 1 = 2라고 표현한 것은 가장 간단한 수식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수식을 계산할 때, 다 같이 정한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곱하기 표와 나누기 표가 있으면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다. 2. 괄호로 묶인 것이 있으면 괄호로 묶인 것부터 계산한다. 첫 번째 규칙, 곱하기.. 2022. 3. 27.
숫자 그리고 자릿수 이번 글에서는 숫자와 함께, 지금까지 이야기했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빼기를 다시 한번 이야기 하겠습니다. 더불어 숫자가 증가하면, 자릿수가 어떻게 변하고 어떻게 읽는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수학에서는 사람, 물건, 동물 등이 얼마큼 있는지를 표현하는데 쓰는 언어이다. 숫 자는 0, 1, 2, 3, 4, 5, 6, 7, 8, 9 이렇게 총열개의 숫자를 사용한다. 0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이다. 사람이 0명이라는 의미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이고, 물건이 0개라는 의미는 물건이 없다는 의미이고, 동물이 0마리라는 의미는 동물이 없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하나씩 늘어나면(생기면), 숫자는 다음과 같이 늘어납니다. 이때 늘어난다는 의미로 '+' 더하기 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1을 총 9번.. 2022. 3. 27.
숫자 그리고 나누기표 이번 글에서는 나누기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누기 나눗셈을 함 나누다 하나를 둘 이상으로 가르다. 나눗셈 몇 개의 수나 식 따위를 나누어 계산함. 나눗셈의 부호 ‘÷' 를 이르는 말. 사전에서는 나누기 또는 나눗셈에 대하여 '나눈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받으면 '나눈다'는 표현이 어떤 것인지 바로 와닿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누기를 처음 배우는 사람한테는 나눈다는 표현이 쉽게 다가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는 나눗셈을 빼기를 이용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전 글에서 곱하다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둘 이상의 수 또는 식을 두 번이나 그 이상 몇 번 되짚어 합치다'라는 정의와 더하기를 이용해서 이야기하였습니다. 그래서 곱하다는 것은 .. 2022. 3. 27.
숫자 그리고 빼기표 이번 글에서는 뺄셈에 대하여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우선, 뺄셈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빼기 뺄셈을 함. 뺄셈 몇 개의 수나 식 따위를 빼서 계산함. 또는 그런 셈. 빼기표 뺄셈의 부호 '-'를 이르는 말. 이런 뺄셈은 어떤 말이나 의미를 수학 언어로 표현한 것일까요? 뺄셈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것이 없어졌을 때'를 표현하는 의미입니다. 있던 것이 없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생각하면, 먹어서 없어졌을 때, 물건을 생각하면, 잃어버렸거나, 다른 사람에게 주었거나, 망가져서 버렸거나, 돈을 주고 다른 사람한테 팔았거나 등등 다양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생각을 바탕으로 몇 가지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철수는 곰돌이 젤리 네 개를 가.. 2022. 3. 27.